장기수선충당금 상가관리에 필요한 장기수선충담금 반환여부
페이지 정보

본문
상가건물로서 장기수선충담금을 사용자가 납부하고 있습니다.
이에 임대차기간이 종료될 경우 사용자가 납부한 장기수선충담금을 소유자가 반환해줘야 하는지?
즉, 주택법 적용대상이 아닌 일반건축물일 경우에도 사용자가 납부한 장기수선충담금을 소유자가 반환해야 하는지?
댓글목록

아파트너스님의 댓글
아파트너스 작성일
1. 질의의 요지
○ 장기수선충담금 반환
2. 검토의견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28조(규약) ① 건물과 대지 또는 부속시설의 관리 또는 사용에 관한 구분소유자들 사이의 사항 중 이 법에서 규정하지 아니한 사항은 규약으로써 정할 수 있다.
○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이하 ‘집합건물법’이라 함)에는 「공동주택관리법」상 공용부분의 장기수선계획(공동주택관리법 제29조)이나 장기수선충당금의 적립(공동주택관리법 제30조)과 같은 규정을 두고 있지 않습니다. 그렇지만 건물 등의 관리 또는 사용에 관하여 집합건물법에서 규정하지 않은 사항에 대해서는 각 건물의 특성에 맞게 구분소유자들이 자치적으로 규약에서 정하는 것은 가능합니다(제28조 제1항).
○ 즉, 공용부분의 장기수선계획이나 장기수선충당금의 부과와 징수 및 그 반환 등에 관한 사항에 대해서는 해당 집합건물의 규약으로 규율해야 할 사안으로 판단됩니다.
○ 한편, 집합건물법에 의하면, 공용부분의 관리비용은 규약에 달리 정한 바가 없으면 각 공유자(구분소유자)가 그 지분의 비율(제12조 참조)에 따라 부담해야 합니다(제17조). 즉, 관리단에 대하여 관리비 채무를 부담하는 자는 원칙적으로 구분소유자이나, 그 채무에 대해 구분소유자가 제3자에게 인수하는 내용의 약정(예를 들어, 임대차 계약 등)을 하는 경우에는 그 약정에 따라 제3자에게 그 채무를 부담시키는 것은 가능할 것입니다.
○ 질의서에는 자세한 사항이 기재되어 있지 않지만, 귀하께서 구분소유자와의 임대차 계약에 의해 관리비용을 부담하기로 약정한 것이라면, 장기수선충당금의 부담자가 누구인지에 대해서는 해당 계약의 구체적인 내용도 검토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 본 질의에 대하여는 해당 집합건물의 규약에 장기수선충당금의 적립과 관련한 근거 규정이 있는지 및 임대차계약에서 장기수선충당금을 임차인에게 부담시키고 있는지 등 구체적인 사실관계가 확정되어야 명확히 답변드릴 수 있을 것이며, 법령의 해석을 담당하는 우리 부에서 귀하의 질의에 대해 확정적으로 답변을 드리기 곤란함을 널리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구체적인 사실관계 확정과 관련된 질의나 사실관계 확정 여하에 따라 그 법률적용 및 효과가 달라지는 질의, 구체적인 분쟁의 해결 절차와 방법 등은 대한법률구조공단(http://www.klac.or.kr)에 전화(국번없이 132) 또는 직접 방문하시어 도움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 그 밖에 집합건물의 관리에 관한 사항은 우리 부 홈페이지 (http://www.moj.go.kr)에 게시되어 있는 [법무정보→자료실→업무자료→간행물] 「집합건물법 해석사례집」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출처 - 법무부 법무실 법무심의관